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정읍교육지원청 JEONBUK STATE JEONGEUP OFFICE OF EDUCATION

영재판별

▶ 담당 : 교육지원과 유초등교육담당 ☎ 530-3034, ☎ 530-3036
영재판별의 기본 원칙
첫 째, 영재를 제대로 판별하기 위해서는 영재성을 잘 정의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 있어서 반드시 교육과 관련지어 판별의 측면, 절차, 도구, 방법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 째,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개인의 특성에 대해 충분히 토론하여 결정하도록 하고, 각 데이터에 각기 다른 비중을 두어야 하지만, 그 근거가 분명하여야 한다.
셋 째, 영재성 판별을 위한 검사의 내용과 목표는 영재교육프로그램이 제공할 학습 내용과 목표를 반영하여야 한다.

≫ 이러한 원칙에 의거 영재교육 대상자를 판별하게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 여러 가지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여러 영역에서 정보를 수집한다.
* 여러 단계에 걸쳐 판별한다.
*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 판별대상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사용한다.
* 가급적 조기부터 실시한다.
* 충분히 수준 높은 검사를 사용한다.
* 나이에 따라 판별의 초점을 달리한다.
* 베타성의 철학보다는 포괄성의 철학에 입각해서 판별한다.
* 영재 판별의 검사에서 얻은 자료, 정보는 지속적으로 활용한다.
영재판별의 절차
1. 유형
가. 일회적 판별 → 여러 종류의 검사를 실시. 각각 비중을 달리함.
나. 다단계적 판별
→ 단계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검사를 실시하고, 단계별로 대상자 수가 줄어들음.
→ 보다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관찰 가능.
1단계:추천→2단계:전문가의 평가→3단계:그룹평가→4단계:교육 및 관찰평가
2. 몇 가지 이론
가. Fox (1976)
* 1단계 : 집단지능검사, 관찰 등을 통해 영재성이 보이는 학생 선별, 선별단계.
* 2단계 : 개인지능검사, 창의성검사, 학문적성검사, 표준화 검사 등을 실시. 변별 단계
* 3단계 : 프로그램에 정치 후 관찰. 정치단계.

나. 조석희 (1996)
* 1단계 : 학업성취기록, 행동관찰.
* 2단계 : 표준화된 지능검사, 적성검사, 흥미검사, 창의성 검사, 학업성취검사 등.
* 3단계 : 전문가에 의한 문제해결과정 관찰, 평가.
* 4단계 : 프로그램에의 배치 및 관찰 평가.

다. 김홍원 (1996, 1997) - 수학영재 판별 절차.
* 1차 판별 : 10~15% 선발.
→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자료 이용 : 교사 관찰, 학업성적, 지능 지수 등.
* 2차 판별 : 5% 선발.
→ 표준화된 검사도구나 특별한 검사 실시 :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
* 3차 판별 : 최종 인원 선발.
→ 고난도의 문제나 활동 제공하고 전문가가 수행 행동 관찰, 면접.
→ 캠프나 합숙 등의 방법 사용.

라. 렌줄리 (1996) * 1차 판별 : 표준화 검사 결과 50%, 교사 추천 50%. → 지역 내에서 2%이내, 전체점수보다 특수영역에서 우수자 선발. * 2차 판별 : 3부 심화 학습에서의 행동관찰을 통해 판별. → 재능풀(Talent Pool) :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재능풀의 비율은 달라질 수 있음.
나이에 따른 판별
영재 교육 대상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지능검사 등을 사용하여 영재의 판별은 타고난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영재의 판별은 각 분야별 특수 재능의 우수한 정도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타고난 능력이 우수한 영재 개인들이 비체계적이나마 개인적인 환경과 경험에 의해서 서로 다른 경험을 갖게 되고 그 경험의 종류에 따라 중 고등학교 급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특별히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분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이가 들수록 학생 개인의 적성 분야를 더 고려한 심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한 개인의 발달적 측면에서 뿐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도 모든 분야에 골고루 우수한 사람보다는 특정한 분야에 대단히 우수한 전문성을 보이는 사람이 더 요구되기 때문이다.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점차적으로 판별과 교육에서 특수 재능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나이가 많은 학생들 중에서 영재교육 대상자를 판별할 경우, 수학, 과학 분야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평가하는 검사를 사용 할 수 있으면 가장 좋으나, 이런 검사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은 분야의 경우에는, 그 분야에 관한 학업 성적, 교사의 추천, 교내 외의 각종 경시대회에서의 입상 경력을 바탕으로 추천하는 판별 방법이 현재로서는 안전한 방법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