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학생지도
- 일반적인 경우
-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가족과 선생님, 친구들에게 인정받고 도움이 되는 존재라고 의식하면 폐를 끼치는 행동은 하지 않게 됩니다. 자신의 존재 가치를 느끼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을 이해하는데 노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하여 학생들 하나 하나의 장점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발생 초기에 단호한 태도를 취해야 하고, 처벌보다는 선도하려는 자세로 지도합니다.
이유 없이 남을 괴롭히는 것’은 인간으로서 절대로 용서될 수 없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지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행위가 상대방에게 얼마나 고통과 상처를 주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게 해야 합니다.
"학교 폭력은 결코 해서는 안되는 행동"임을 지도해야합니다. 학교 폭력에 이른 원인을 사실에 기초해 확실히 밝혀 내야 합니다.
피해 학생의 마음에 대해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학생이 열중할 수 있는 것을 장려하여 성취감을 느끼게 해야 합니다.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불만해소에 노력하며, 마음의 안정을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복지관이나 청소년 상담소, 민간 단체에서 실시하는 비행 예방 프로그램이나 심신 수련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 죄의식이 없는 경우
-
가정이나 학교에서 자신을 인정해 주기 않기 때문에 욕구불만에 쌓여 학교 폭력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불만해소에 노력하며, 마음의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복지관이나 청소년상담소, 민간 단체에서 실시하는 비행 예방 프로그램이나 심신 수련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합니다.
-
즉,
-
① 지속적인 자기 개발 및 기회부여하기
② 학교 및 지역 청소년 관련기관간 /JBE/midschool/images 구축하기
③ 예방차원에서 학교교육과정 윤영 다양화 및 상담 활성화하기
④ 청소년지원시설 확충 및 프로그램 개선하기
⑤ 직업훈련 프로그램 확대하기
⑥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직업훈련 및 사회복귀 지원하기
⑦ 가정의 교육적 기능 강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확대 및 부모교육의 활성화 여건조성, 예비 부모교육 실시
⑧ 부적응 학생지도 및 특기적성교육 강화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