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진안교육지원청 JEONBUK STATE JINAN OFFICE OF EDUCATION

학교폭력신고및상담

피해학생지도

피해학생이 알려온 경우
피해 학생의 마음을 헤아려 함께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학생과 한 약속이나 비밀은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피해 학생은 심각하게 위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경찰에 연락을 취해서라도 적극적으로 피해학생을 보호해 주어야 합니다.
사실을 있는 그대로 육하원칙에 의하여 파악합니다. 보복을 막기 위해서는 신속히 사실 파악에 나서야 하고 언제, 누가, 무엇을 했는지, 제 3자가 있는지, 폭력의 범위와 성격을 시간이 걸리더라도 자세히 알아봅니다. 특히 폭력이 재개될 경우는 그 강도가 더욱 심해진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폭력 문제가 해결되었다 하더라도 반드시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친구가 말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친구가 학교 폭력에 대한 사실을 알려왔다면 이 집단은 자정 능력을 가진 건전한 상태 사실을 보여줍니다. 알려 온 학생을 칭찬합니다. 또한 피해 사실을 지켜보고 이를 교사에게 학생은 그 해결책을 나름대로 갖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문제 해결 방법을 물어 보는것도 중요합니다. 피해 당사자의 집단 내부의 인간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지도 방법을 강구한 다음의 인간관계는 유동적이므로 선입관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어려운 친구를 돕는 일이 좋은 확신을 갖게 하고 친구의 인격 및 프라이버시도 보존합니다.

부모가 알려온 경우
폭력피해를 부모님이 알게되면 대부분의 부모님은 학교에 의뢰합니다. 그때 학교는 먼저 학생의 문제의 관심을 보이고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문제를 해결하는데 학교를 믿는 학부모의 협조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학교는 부모가 쉽게 찾아 올 수 있는 민주적이고 열린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글을 통해 아는 경우
학생개인이 사용하는 일기, 편지, 낙서들을 통하여 학교폭력 및 집단괴롭힘 사실을 알게 될 때 이에 대한 대처 방법은 신중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학교 폭력을 당한 학생은 마음의 상처가 크고 자신감을 잃은 경우가 많습니다.
피해 학생이 소속감을 되찾을 수 있을 때까지 세심한 교육적 배려로 원조와 지도를 해야 합니다.
반면 폭력을 가한 한색 중에는 죄책감을 갖지 않는 경우도 있다. 지도에 앞서 그 학생이 학교 폭력 피해자 개인을 바르게 파악해야 합니다.
개개인의 인격을 인정하는 바탕 아래, 남을 생각하는 배려와 정의감, 판단력 등에 호소권 의식을 키워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