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고창교육지원청 로고이미지

관내학교소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등)를 등록할 수 없으며, 해당 글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저작권을 침해하는 글을 등록할 수 없습니다.
  • 온라인 강의자료(파일, 영상 등)를 타 웹사이트 공유 또는 편집, 복제를 금지합니다.
  • 20200806_095359.jpg
    *** | 20.08.11 조회:370
    【아산중】2020 찾아가는 코딩교실
    아산중학교(교장 문병원)에서는 지난 8월 6일(목) 2-4교시에 교육과정과 연계 협력한 SW(코딩)교육을 전교생을 대상으로 학교로 방문하여 수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엔트리란, KAIST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비영리 소프트웨어교육 플랫폼으로 학생들이 블록을 가지고 코딩을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첫번째, 엔트리보드게임/엔트리 알아보기를 통해 엔트리와 친해지기, 보드게임을 통해 절차적 사고와 문제해결(알고리즘)능력을 키울 수 있고, 엔트리에 접속하고 회원 가입하고, 엔트리 만들기 화면 구성과 주요 용어를 알 수 있었습니다. 두번째, 엔트리 이야기 만들기를 통해 블록 명령어를 순서대로 사용하여 미션을 해결할 수 있으며, '~번 반복하기' 명령을 통해 미션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조건에 따라 다른 명령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었습니다. 세번째, 엔트리 게임만들기를 통해 이벤트 개념을 이해하고 조건에 맞는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신호를 만들어 오브젝트끼리 신호를 주고 받아 약속된 미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글상자를 만들어 장면을 추가할 수도 있는걸 배웠습니다.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다양하게 연구하는 움직임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기존의 하드파워보다 소프트 파워의 역량이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소프트파워는 교육, 문화, 과학, 기술 등 인간의 이성 및 감성적 능력을 포함하는 문화적 힘을 말합니다. 자신의 아이디어를 기존 제품에 접목시켜 새로운 기능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소프프 파워를 키우기 위하여 '코딩교육'이 필요하며, 주어진문제를 분석하고, 자신만의 사고 과정을 통해 새롭게 해석하고, 새로운 문제 해결책을 도출하는 창의력을 길러 준다고 생각합니다.
  • 20200729_093606.jpg
    *** | 20.08.03 조회:357
    【아산중】우리 고장의 농악전수관을 찾아 떠나요~~
    아산중학교(교장 문병원)에서는 지난 7월 29일(수) 신림중학교 1학년 4명과 아산중학교 1학년 5명 총 9명 학생들이 고창군 성송면에 위치한 고창농악전수관으로 자유학년제 진로활동을 다녀왔습니다. 작년에 이어 올해 두번째 방문으로, 먼저 고창농악전수관으로 이동하여 전시실 관람 후 전통예술교육 직업에 대한 강의를 들은뒤 직접 악기를 다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서툴지만 전통악기인 장구,징, 북, 꽹과리를 가지고 우리 가락에 맞춰 다양한 소리를 내어 보고 체험해 보았습니다. 자주 접하지 못한 고창농악문화와 고창농악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주제로 공동체 문화유산인 농악이 현대사회에 어떻게 자리매김해야하는지 대해 토론의 시간도 갖으면서 전통문화에 대해 한 발 앞서 갈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우리 것이 소중하고 아름다운것임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 20200717_103503.jpg
    *** | 20.07.23 조회:363
    【아산중】전북과학교육원으로 고고씽~!
    아산중학교(교장 문병원)에서는 지난 7월17일(금) 전교생이 익산 전북과학교육원으로 과학탐구체험활동을 다녀왔습니다. 과학문화체험을 위해 전교생이 전시체험관을 찾았고, 1층 과학소통마당, 2층 유레카과학교실, 3층 미래꿈마당에는 로보누리, 에너지관, 아름다운지구관, 천문우주관, 수학놀이터 4층에는 별빛마당으로 다양한 주제의 과학문화를 체험하도록 나눠져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로보누리관에 로봇극장에서는 17관절로 이루어진 휴머노이드 댄스로봇팀인 로보크루와 19관절로 이루어진 얼굴로봇이 환상의 콤비를 이루며 얼굴로봇이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며 멋진 멘트와 비트박스로 공연을 이끌어 가면 로보크루는 그에 맞춰 다이나믹한 댄스를 보여줍니다. 로봇친구들의 환상적인 무대를 볼 수 있었습니다. 휴머노이드 로봇을 가지고 축구, 마라톤, 복싱, 골프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도 즐길 수 있고, 인간의 모습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 로보데스피안을 만날 수 있었으며, 로봇선생님은 로봇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었습니다. 로봇해부학교실, 로봇선생님 등 로봇첨단과학을 통해 미래 과학에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미래대체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아름다운 지구와 천문우주의 신비를 체험하며 우주로 나아가는 인간의 미래를 체험하고 돌아왔습니다. 2015개정교육과정에 맞게 미래핵심 역량을 키우는 학생중심활동을 경험하는 알찬 계기가 되었습니다.
  • 20200716_140207.jpg
    *** | 20.07.21 조회:521
    【아산중】2020 찾아가는예술극장 비보잉 공연
    아산중학교(교장문병원)에서는 지난 7월 16일(목) 14:00 대아초 시청각실에서 초중연계어울림학교 문화체험활동으로 2020 찾아가는 예술극장 비보잉 공연팀을 초청하여 3개교(대아초, 아산초, 아산중) 학생들이 함께 관람하였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3개교가 철저한 방역과 발열체크를 거치고 거리두기를 통해 자주 접하지 못하는 비보잉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었습니다. 비보이들의 춤사위에 감탄을 자아내며 비보이들의 춤을 따라해 보는 시간도 가져보았습니다. 각 학교 대표가 나가서 댄스를 선보였는데 자기 방식대로 멋지게 소화해줘서 박수 갈채를 받았습니다. 비보이는 힙합 문화에 심취한 사람, 일반적으로 비보잉(B-boying) 혹은 브레이킹(Breaking)을 전문적으로 추는 남자를 말합니다. 비보이문화는 1970년초 미국 뉴욕 '브롱크스'에서 시작되었고 길거리 즉, 스트리트댄스 문화로 시작되었습니다. 한국에는 1990년대 중반 본격적으로 비보이 문화가 유입되었고 2000년대초반 비보잉문화가 언론 및 각 종 매체에 등장하면서 국내 젊은층 사이에서 쉽게 비보이 문화를 접하게 되었고,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문화코드로 자리잡았으며, 우리나라 비보이들은 세계적인 비보이 강국으로 성장하였으며 스포츠로도 각광받고 있습니다. 자주 접하지 못한 비보잉공연을 통하여 비보이문화 또는 진로에 대해 더 알아 보는 계기가 되었을거라 생각됩니다.
  • KakaoTalk_20200714_112203823.jpg
    *** | 20.07.14 조회:363
    [신림초] 학교폭력 예방교육(2020.07.13.)
    신림초등학교(교장 박금영)에서는 7월 13일(월) 2020학년도 학교폭력예방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고창경찰서 학교폭력예방 담당 경찰관께서 학교폭력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시고,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아이들과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학교폭력 사례와 주의점, 예방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아이들이 집중할 수 있게 해주셨고, 더불어 사이버 성폭력 예방과 사안 발생시 대처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이번 학교폭력예방교육을 통해서 신림초등학교의 건전한 학교생활 분위기는 우리가 만들어 가겠다는 다짐을 해보았습니다.
전체건수:320건